ABOUT ME

-

Today
-
Yesterday
-
Total
-
  • [사회/정치] 부산, 창원, 김해, 양산, 함안 지역 주민들 발암물질 비상
    뉴스보기/정치 2016. 9. 19. 19:05

    연합뉴스 기사의 내용 중 일부 발췌하여 게시글 작성하며 뉴스 원문 바로 가기를 통하여 좀 더 자세한 내용을 살펴볼 수 있어요


    낙동강 '녹조' 소독에 염소·발암물질 증가..수돗물 비상

    소독부산물 총트리할로메탄 농도 갈수록 높아져..낙동강 수계 한강의 배 검출 환경부 "기준치 이하라 문제 없다" vs 전문가 "장기간 섭취 시 문제 생길 수 있어"
    뉴스 원문 바로 가시려면 이곳을 눌러주세요


    아래는 주요 내용 발췌한 기사입니다



    부산, 창원, 김해, 양산, 함안 지역 주민들 발암물질 비상



    소독부산물 총트리할로메탄 농도 갈수록 높아져…낙동강 수계 한강의 배 검출


    환경부 "기준치 이하라 문제 없다" vs 전문가 "장기간 섭취 시 문제 생길 수 있어"


    (창원=연합뉴스) 박정헌 기자 = 낙동강 수계에 매년 녹조가 심해지면서 정수과정에서 투입 염소 양이 늘어나고 부산물로 생기는 발암물질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도 높아지고 있어 경각심을 불러일으키고 있다.


    환경부는 검출된 발암물질 수치가 기준치 이하여서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지만 전문가들은 인체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 불확실한 만큼 농도가 높아지는 현상은 문제가 있고 대책이 시급하다고 지적한다.



    ◇ 염소 소독 과정서 총트리할로메탄 생성…샤워도 '조심'


    발암성 물질인 총트리할로메탄(THM)은 염소 소독으로 생기는 가장 일반적인 소독부산물이다.


    일반적으로 정수 과정에서 투입된 염소가 물 속 유기물과 만나 생성된다.


    염소와 자연유기물이 반응할 때 생성되며 일반적으로 클로로포름, 브로모디크로포 메탄, 디브로모클로로메탄, 브모로포름 등 4개 물질을 묶어 총트리할로메탄이라 칭한다.


    1974년 미국 뉴올리언스에서 수돗물을 마신 사람이 암으로 사망한 뒤 총트리할로메탄이 발병 원인으로 지목되면서 사람들의 관심을 끌게 됐다.


    실험 결과 발암성이 입증됐으며 신장과 간에도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알려졌다.



    환경부는 세계보건기구(WHO) 기준에 따라 마실 수 있는 수돗물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를 0.1㎎/ℓ 이하로 정해 관리하고 있다.


    휘발성이 있어 수돗물을 끓일 경우 성분 대부분이 증발한다. 농도가 높다고 하더라도 끓인 물이라면 안심하고 마셔도 되는 것이다.


    하지만 샤워할 때는 뜨거운 물이라 하더라도 수증기 형태로 피부나 호흡기에 노출된다. '뜨겁다'고 해서 모든 문제가 해결되지는 않는 것이다.


    ◇ 4대강 사업 이후 매년 THM 농도 높아져


    문제는 기준치 이하로 관리된다 하더라도 인체에 무해하다는 보장이 없으며 나라별로 기준치가 달라 수돗물을 식수로 안심하고 사용할 수 없다는 데 있다.


    ◇ '1급수' 한강보다 낙동강 발암물질 농도 훨씬 높아


    1급수에 가까운 한강의 경우 올 8월 기준 37개 정수장의 평균 총트리할로메탄 농도는 0.029㎎/ℓ였다.


    같은 기간 경남 9개 정수장의 평균 농도는 0.040㎎/ℓ, 대구 2개 정수장의 평균 농도는 0.071㎎/ℓ였다.


    영남권 주민이 수도권 주민보다 많게는 두 배가 넘는 발암물질을 섭취하고 있는 셈이다.


    낙동강을 원수로 하는 정수장과 아닌 정수장의 차이도 크다.


    낙동강 물을 원수로 하는 대구 매곡·문산정수장은 운문댐을 원수로 하는 고산정수장보다 총트리할로메탄 농도가 6배까지 높은 것으로 드러났다.


    ◇ 환경부 "기준치 이하라 문제없어" vs 전문가 "안심할 수 없어"


    환경부는 먹는 물 수질 기준보다 낮게 총트리할로메탄 농도가 관리되고 있어 문제가 없다는 입장이다.


    그러나 미국 캘리포니아주 건강관리국이 1998년 임산부 5천144명을 대상으로 실험한 결과 하루 5컵 이상 수돗물을 마시는 경우 현행 기준치 이하 농도라고 해도 유산 가능성이 크다는 연구 결과를 발표하기도 했다.


    부산가톨릭대학교 환경공학과 김좌관 교수는 "WHO 문건을 보면 0.1㎎/ℓ라는 기준은 어디까지나 '권고치'로 '가능한 한 낮을수록 좋다'고 함께 명시됐다"며 "독일이나 네덜란드 같은 유럽 선진국들은 이에 이미 염소 소독 대신 자외선 살균 방식으로 정수 과정을 바꾸는 추세"라고 지적했다.




    부산_창원_김해_양산_함안_지역_주민들_발암물질_비상부산_창원_김해_양산_함안_지역_주민들_발암물질_비상


    댓글

Designed by Tistory.